유통
LG생활건강, 2분기 영업이익 548억원…전년 대비 65% ↓
- 화장품·음료 부분 매출·영업익 동반 하락
자사주 소각·중간배당 등 ‘밸류업’ 방안 이행 의결

전반적으로 경기 회복이 더뎌지면서 매출과 영업이익이 모두 줄었다는 게 LG생활건강의 설명이다.
북미와 일본 사업 매출은 6.4%, 12.9%씩 늘면서 성장세를 이어갔으나, 해외 매출 비중이 큰 중국은 8.0% 감소했다.
화장품 부문의 2분기 매출은 지난해 2분기보다 19.4% 하락한 6046억원으로 나타났다. 영업이익은 -163억원으로 적자 전환했다.
LG생활건강은 “시장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원가 부담이 커진 데다 면세·방판 등 전통 채널을 중심으로 국내 사업 구조를 재정비하면서 매출과 영업이익이 감소했다”며 “미래를 위한 마케팅 투자는 계속하고 있다”고 했다.
HDB(Home care & Daily Beauty·생활용품) 부문은 매출액이 542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.0% 성장했지만, 영업이익은 286억원으로 7.1% 떨어졌다. 프리미엄 브랜드가 해외 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보이면서 매출이 올랐지만, 고정 비용과 마케팅 투자가 늘면서 영업이익이 줄었다.
음료 매출과 영업이익도 각각 4583억원, 425억원을 기록하며 4.2%, 18.1% 감소했다. 내수 소비 둔화와 장마 영향으로 전반적인 음료 수요가 줄어든 데다 환율과 원·부자재 가격이 상승한 탓이다.
상반기 전체 매출은 3조3027억원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5.3% 떨어졌다. 영업이익은 36.3% 감소한 1972억원으로 집계됐다. 화장품 부문 매출은 1조3127억원, 영업이익은 426억원으로 각각 11.5%, 70.0% 줄었다. 생활용품 부문은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1조1153억원, 652억원으로 전년 대비 2.1%, 3.5% 늘었다. 음료는 매출 8747억원, 영업이익 893억원으로 각각 4.2%, 14.4% 하락했다.
LG생활건강은 이날 이사회에서 지난해 11월 밸류업(기업 가치 제고) 방안으로 발표한 ‘중간배당 및 자사주 소각 계획’을 이행하기로 의결했다. 중간배당은 보통주와 우선주 동일하게 1000원으로 결정하고, 다음 달 18일 기준 주주를 대상으로 29일까지 지급할 예정이다.
보유 중인 자사주 중 보통주 31만5738주도 다음 달 14일 소각하기로 했다. LG생활건강은 현재 보통주 95만8412주와 우선주 3438주를 갖고 있다. 소각 후 남은 자사주는 밸류업 방안에 따라 오는 2027년까지 전량 소각할 계획이다.
LG생활건강 관계자는 “현재 운영 중인 사업의 성장과 인수합병(M&A)을 통한 신성장 동력을 확보하는 등 근본적인 기업 가치를 개선하는 것이 최우선”이라면서 “미래 성장을 위해 과거와 동일하게 M&A에 적극적인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”고 말했다.
ⓒ이코노미스트(https://economist.co.kr) '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'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
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
브랜드 미디어
브랜드 미디어
한동훈 "진성준 '주식투자 한 적 없다'고...무섭다"
세상을 올바르게,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
이데일리
이데일리
아이브 레이 '개호강' 대활약!…"뜻깊은 경험"
대한민국 스포츠·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
일간스포츠
일간스포츠
‘한·미 관세협상 선방했다는데’…환율은 왜 1400원을 넘었을까
세상을 올바르게,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
이데일리
이데일리
[마켓인]상상인저축은행, OK금융 이탈에 PEF 인수설 부상…매각 장기전 가나
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
마켓인
마켓인
실적 호조 HK이노엔 상승, 셀비온 관심 고조[바이오 맥짚기]
바이오 성공 투자, 1%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
팜이데일리
팜이데일리